

일본제국의 항복조인식에 참석하기 위해 미조리호에 도착한 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 (연미복에 지팡이를 든 인물)
1945년 9월 2일 오전 9시 8분 미국의 전함 미주리호. 이곳에서 일본제국의 항복조인식이 열렸다. 먼저 맥아더 장군의 짧은 연설이 끝나자 연미복에 지팡이를 짚은 인물이 절뚝거리며 항복문서가 놓여진 책상 앞으로 나왔다.
바로 일본제국의 마지막 외무대신(한국으로 치면 외무부장관)인 시게미쓰 마모루였다. 펜을 잡은 시게미쓰의 손이 떨렸다. "대일본제국이 지다니…." 이 서명 장면은 일본제국의 몰락의 상징이었다.
그는 퉁명스러운 표정을 지은 채 항복문서에 서명하고는 그 펜을 들고 자리를 떴다. 맥아더 장군의 보좌관들이 화난 얼굴로 시게미쓰가 물러가는 장면을 째려보았다.
조인식 책상에는 항복문서와 함께 '항복 서명용 펜'이 비치돼 있었다. 이 펜은 훗날 미국 버지니아주 노포크에 세워질 맥아더 박물관에 보관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책상 앞에 다가간 시게미쓰는 자기 주머니에서 펜을 꺼내 서명한 뒤 자기 주머니에 넣고 절뚝거리며 가버린 것이었다.

그의 오른발은 어떤 문제가 있었나? 바로 윤봉길 의사가 하늘로 날려버린 것이다.

1932년 4월 29일 훙커우공원 일왕 생일 기념식장 단상에 선 일본 요인들의 뒷모습. 윤봉길 의사가 폭탄을 던진 곳과 비슷한 위치에서 찍은 사진이다. 왼쪽부터 가와바타 사다쓰구(河端貞次) 상하이 일본거류민단장(다음날 사망), 시게미쓰 마모루(重光葵) 주중 일본공사(다리 중상), 노무라 기치사부로(野村吉三郞) 일본 제3함대사령관(오른쪽 눈 실명),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상하이파견군 대장(1개월 후 사망), 우에다 겐키치(植田謙吉) 제9사단장(부상).◇ 윤봉길이 던진 폭탄이 시게미쓰의 오른발을 날려버리다

윤봉길 의사가 던진 폭탄으로 사망한 시라카와 대장의 군복을 부관으로 보이는 일본 군인이 살펴보고 있다. 가슴과 찢겨나간 바지통 곳곳에 피가 묻어 있다.폭탄이 폭발한 것을 확인한 윤봉길은 자결하려고 자기 옆에 도시락 폭탄을 던졌으나 불발이었다. 폭탄이 터지지 않자 일본 헌병들이 윤봉길에게 달려들어 마구 구타했다. 윤봉길은 '일본제국주의를 타도하자'고 외쳤다. 윤봉길은 곧 일본군 사령부로 끌려갔다.

큰아들 신동주의 결혼식에서 포즈를 취한 롯데 신격호 회장과 부인 시게미쓰 하츠코씨.신격호는 1941년 만 19살 나이에 돈을 벌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갔다. 주머니에 있는 돈은 겨우 83엔. 한국에 임신한 아내를 두고 왔던 신격호는 일본에서 중혼을 했다. 이 결혼이 그의 인생을 바꿨다. 그가 머물던 집 주인의 딸 시게미쓰 하츠코가 그의 두 번째 부인이다.

재미있는 것은 아베 수상 가문과 신격호 집안이 각별한 사이란 점이다. 아베 수상의 외할아버지인 기시 노부스케 전 수상과 마모루가 주중 일본공사를 서로 주고 받고 똑같이 A급 전범이란 전력을 갖고 있는 등 친밀하고도 공통된 관계를 맺고 있는 것과 연결된다.
일본군 수뇌부에게 폭탄을 던지고 순국한 윤봉길 의사가 자기의 적이었던 일본군 창립기념식이 서울 한복판의 으리으리한 호텔에서 열리는 모습을 보았다면 어떤 생각을 했을까.
신들어라의 최근 게시물